1974 - 2025

한국교회 인권운동이 걸어온 길
현재

2024/12/9

38회 한국교회 인권상 시상 '4.16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', '故 임보라 목사'

2024/11/18
한국교회 인권센터로 명칭변경
2024/5/2
한국교회 인권운동 50년 기념식 "약한 것을 강하게"

2024/4/27

한국교회 인권운동 50년 기념 “아시아 인권회의”

2023/12/8

37회 NCCK인권상 시상, ‘10·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’

2023

강제징집·프락치강요 국가폭력 국가소송 일부 승소

2023

강제징집·프락치강요 국가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기독교대책위원회 결성

2023/2

국가보안법 피해자들을 위한 사순절 6주간 금요기도회

2023/2/22

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그리스도인 선언

2022/12/27

국가보안법 피해자들을 위한 기독교대책위 결성 및 활동

2020/12/3

NCCK인권상 시상, 김진숙(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), 

특별상 故자라 알바레즈(필리핀 인권운동가)

2020/11/5

전태일50주기 개신교 심포지움 주최 - “한국교회, 전태일을 기억하다”

2020/6/24

성소수자 축복기도로 재판받는 이동환 목사 대책위원회 기자회견

2020/3/17

아시아 성소수자 인권 국제회의

2019/9/30

4대종교 인권단체와 함께하는 ‘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는 이야기마당’

2018/12/25

파인텍 굴뚝농성자와 함께하는 성탄절 기도회

2018/12/21

긴급간담회 - “제주의 난민, 무엇인 문제인가?”

2018/5/28
한국교회 인권감수성 증진을 위한 토론회 ‘차별과 혐오의 시대, 한국교회 인권교육’

2018/5/17

국제 성소수자 인권 협의회_Ecumenical Consultation on Gender and Sexuality 공동개최

2018/4

‘2018 한국교회 인권교육 실태조사’(7개월간), 국가인권위원회 공동협력사업

2017/9/21

KTX 해고 승무원 문제 해결을 바라는 종교인 오체투지

2016/9/1

북 해외식당 종업원 기획 탈북 의혹사건 해결을 위한 목요기도회

2016/4/28

NCCK인권센터, 차별없는 세상을 꿈꾸는 이야기마당(강사 : 김조광수) 개최

2014/5/20

세월호 참사 추모기도회

2013/10/10

일명 ‘내란예비음모사건’ 관련 인권 피해자를 위한 목요기도회

2013/4/25
NCCK인권센터로 명칭 변경

2010/11/7

한미FTA 저지를 위한 기도회 및 기자회견

2009/1/22

NCC·한국교회인권센터 등 ‘용산철거민참사’ 추모 및 진상규명 촉구

2008/5/19

NCCK 등 기독교인권단체들, 기륭전자·이랜드의 비정규직 문제 해결 촉구

2007/10/22

NCCK, 미얀마 민중을 위한 기도회

2005/11/10

『한국교회 인권운동 30년사』 간행.

2005/1/27

한국교회인권센터 총회 및 개원식

2024/6/12

NCCK 인권위원회, 창립3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개최

2004/5/8
NCCK 인권위원회,
창립30주년기념식 거행

2004/3/22

인권위원회 창립30주년기념 동판 제막

2003/6/3

천주교, 불교, 원불교 인권위와 공동으로 사형제도폐지 기원과 사형수 이도행씨 무죄확정 감사예배

2002/11/14

한국교회인권센터 사업, NCCK인권위원회로 이양하기로 결의.

2002/7/22

미군 장갑차 여중생 고 신효순, 심미선 양 사망사건 성명

2001/4/27

사형폐지한국기독교협의회 창립

2000/5/16

인권선교정책협의회 - “한국교회 21세기 인권선교 : 5.18광주민중항쟁 20주년”

1996/6/7

한국교회 인권센타, 기독교회관에서 공식 출범

한국우토로지역동포후원, 인도네시아군의 동티모르 여성 잔혹행위 중단 촉구. 

노근리사건 진상규명 청원서 제출, 국가보안법반대국민연대 결성, 

사형제도 폐지에 관한 특별법 입법촉구 결의대회 등

1995/12/16

NCCK 인권위원회, 국가보안법 철폐 및 선교탄압 중지을 위한 목요기도회

1994/12/21

북한 조선기독교도연맹 중앙위원회, NCCK 인권위원회에, 한국전쟁 당시 체포되었던 장기수 김인서·함세환·김영태씨 등 3명을 북한으로 귀환 협력 요청

1994/12/8
NCCK 인권위원회 창립 20주년 기념예배,
한국교회 인권선교 20년사 출판
94년 인권상, 한국정신대대책위원회 수여,
하비 목사 공로패 증정

1994/4/4

NCCK 인권위원회 사형 제도 폐지 촉구

1994/3/5

NCCK 인권위원회, 미국의 내정간섭적 태도를 비난하고 

민주주의와 통일의 장애물인 국가보안법을 철폐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 발표

1992/10/31

인권위원회, 윤석양 이병의 무죄석방 요구

1992/3/1

NCCK 인권위원회, 월간 「인권」 창간

1991/5/9

고 강경대 군 살인폭력 규탄, 고 김기설씨 사건진상조사,

박노해씨 사형구형 반대 성명

1990/10/4

NCCK 인권위원회, 보안사 윤석양 이병,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명단 공개

1990/3/5

정의·평화·창조질서의 보전 세계대회 서울에서 개최, 124개국 1천여 명 대표 참석

1989/9/4

평화민주당·통일민주당·NCCK 민주교수협의회·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은 

NCCK 인권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 

보안사 학원공작 진상규명 대책위원회 발족선언문을 발표

1989/4/10

전국 목회자 1,294명은 NCCK 인권위원회 사무실에서 

국가보안법 폐지 및 민족통일협의기구 구성 촉구

1988/12/19

NCCK 인권위원회, 반고문·반폭력 인간선언대회를 기독교회관 대강당에서 개최

1987/12/10
NCCK 인권위원회, 제1회 인권상 시상
수상자 의사 오연상씨

1987/6/23

인권위, < 인권소식 >창간

1987/

5/27

향린교회에서 ‘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’ 결성

1987/

5/23

박종철군 고문·살인은폐조작규탄 범국민대회준비위원회

(공동위원장 고영근·강문규 등 32명), 기독교회관 인권위원회 사무실에서 

살인은폐조작규탄 범국민대회를 오는 6월 10일 개최한다고 밝힘

1986

NCCK 인권위원회, 『1970년대 민주화운동』 (전 3권), 

『1980년대 민주화운동』(전 3권) 자료집 간행

1983/

2/24

NCCK, 부산 미문화원방화사건으로 사형 언도받은 문부식·김현장 구명을 위한 예배

1981/

4/30

NCCK 인권위원회, 양심수 349명 발표

1981/

4

스웨덴 개신교 연합기관인 스웨덴자유교회,  NCCK 인권위원회에 평화상 수여 통보

1980/

5/30

감리교인 김의기(서강대), 광주항쟁 관련 유서를 남기고 기독교회관에서 투신 자결

1980/

5/18

‘광주민중항쟁’ 발생

1980/

4/27

NCCK 인권위, ‘고난받는 형제를 위한 기도회’ 개최

1980/3 
NCCK 시국에 관한 대사회선언

1979/

9/10

‘인권과 교권수호를 위한 전국기도회’ 개최

1979/3/16

NCCK 인권위원회, 3·1절 연행·연금사태 항의

1978/

1/16

‘3·1민주구국선언사건’으로 구속되었다가 석방된 이들을 위한 환영예배 개최

1975/

1/13

첫 인권 연합예배(기독교회관)

1974/

7/18

구속자들을 위한 목요기도회 시작(기독교회관)

1974/5/4

NCCK 인권위원회 창립

(위원장 이해영목사, 부위원장 이태영목사, 서기 홍충남신부)

1974/

4/3

민청학련사건 (민청학련 사건 관련 KSCF 관계자 대거 검거)

1974/

2/25

NCCK 실행위원회는 ‘인권위원회 구성 결의’

1974/

1/17

한국교회 지도자들이 기독교회관에서 유신체제 반대 성명발표

1973/

11/23

NCCK ‘신앙과 인권협의회’ 참가자들은 '인권선언’을 발표,

인권운동을 위한 상설조직 요청